반응형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3월 경기 정리 (2025.3.26 기준)
아시아 3차 예선 개요
아시아 3차 예선은 2024년 9월 5일부터 2025년 6월 10일까지 진행되며, 18개국이 A, B, C 3개 조로 나뉘어 홈 &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고 있습니다. 각 조 1위와 2위는 2026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며, 3위와 4위 팀은 4차 예선에 진출합니다.
2025년 3월 경기 결과
3월 20일 경기
A조
이란 vs 카타르
우즈베키스탄 vs 키르기스스탄
B조
대한민국 vs 팔레스타인
쿠웨이트 vs 이라크
C조
일본 vs 바레인
인도네시아 vs 오스트레일리아
사우디아라비아 vs 중국
3월 25일 경기
A조
이란 1-0 키르기스스탄
득점: 메흐디 타레미 (이란, 34분)
장소: 풀라드 샤흐르 스타디움, 이스파한
우즈베키스탄 1-0 북한
득점: 잘롤리딘 마샤리포프 (우즈베키스탄, 20분)
B조
대한민국 vs 요르단 (3월 25일 예정)
쿠웨이트 vs 오만 (3월 25일 예정)
C조
팔레스타인 1-3 요르단
득점: 웨삼 아부 알리 (팔레스타인, 41분), 야잔 알나이마트 (요르단, 4분, 50분), 누르 알라왑데 (요르단, 72분)
장소: 쿠알라룸푸르 스타디움,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3월 경기 하이라이트
- 이란의 메흐디 타레미가 키르기스스탄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하며 이란의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습니다.
- 우즈베키스탄은 북한을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며 본선 진출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 요르단의 야잔 알나이마트가 팔레스타인전에서 2골을 기록하며 팀 승리에 기여했습니다.
- 현재까지 최다 득점자는 알무이즈 알리, 야잔 알 나이마트로 각각 5골씩 기록했습니다.
아시아 3차 예선 현재 순위
A조 | |||||
순위 | 팀 | 경기 | 승-무-패 | 득실차 | 승점 |
---|---|---|---|---|---|
1 | 이란 (X) | 7 | 6-1-0 | +9 | 19 |
2 | 우즈베키스탄 (X) | 7 | 5-1-1 | +4 | 16 |
3 | 아랍에미리트 | 7 | 3-1-3 | +6 | 10 |
4 | 카타르 | 7 | 3-1-3 | -3 | 10 |
5 | 키르기스스탄 (Z) | 7 | 1-0-6 | -8 | 3 |
6 | 북한 (Z) | 7 | 0-2-5 | -8 | 2 |
B조 | |||||
순위 | 팀 | 경기 | 승-무-패 | 득실차 | 승점 |
---|---|---|---|---|---|
1 | 대한민국 (X) | 7 | 4-3-0 | +7 | 15 |
2 | 요르단 | 7 | 3-3-1 | +6 | 12 |
3 | 이라크 | 7 | 3-3-1 | +2 | 12 |
4 | 오만 | 7 | 2-1-4 | -3 | 7 |
5 | 쿠웨이트 | 7 | 0-5-2 | -6 | 5 |
6 | 팔레스타인 (Z) | 7 | 0-3-4 | -6 | 3 |
C조 | |||||
순위 | 팀 | 경기 | 승-무-패 | 득실차 | 승점 |
---|---|---|---|---|---|
1 | 일본 (X) | 6 | 5-1-0 | +20 | 16 |
2 | 오스트레일리아 | 6 | 1-4-1 | +1 | 7 |
3 | 인도네시아 | 6 | 1-3-2 | -3 | 6 |
4 | 사우디아라비아 | 6 | 1-3-2 | -3 | 6 |
5 | 바레인 | 6 | 1-3-2 | -5 | 6 |
6 | 중국 | 6 | 2-0-4 | -10 | 6 |
2026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확정 국가
대륙 | 국가 | 진출 방식 |
---|---|---|
북중미(CONCACAF) | 미국 | 개최국 |
북중미(CONCACAF) | 캐나다 | 개최국 |
북중미(CONCACAF) | 멕시코 | 개최국 |
아시아(AFC) | 일본 | 아시아 3차 예선 C조 1위 |
아시아(AFC) | 이란 | 아시아 3차 예선 A조 1위 |
아시아(AFC) | 대한민국 | 아시아 3차 예선 B조 1위 |
남은 경기 일정
2025년 6월 경기 일정
- 6월 5일(목)
- 이란 vs 아랍에미리트
- 우즈베키스탄 vs 카타르
- 북한 vs 키르기스스탄
- 대한민국 vs 쿠웨이트
- 요르단 vs 이라크
- 오만 vs 팔레스타인
- 6월 10일(화)
- 이란 vs 북한
- 카타르 vs 우즈베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vs 아랍에미리트
- 대한민국 vs 팔레스타인
- 이라크 vs 요르단
- 쿠웨이트 vs 오만
아시아 3차 예선 진행 상황 요약
현재 아시아 3차 예선에서는 일본, 이란, 대한민국이 본선 진출을 확정했습니다. 우즈베키스탄도 거의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상태이며, B조와 C조에서는 나머지 본선 직행 티켓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주요 경기 하이라이트
- 일본은 3월 20일 바레인과의 경기에서 5-0 대승을 거두며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했습니다. 미토마 가오루가 2골을 기록하는 등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였습니다.
- 이란은 3월 25일 키르기스스탄을 1-0으로 꺾으며 본선 진출을 확정했습니다. 포르투 공격수 메흐디 타레미의 결승골이 빛났습니다.
- 대한민국은 3월 20일 팔레스타인을 3-1로 꺾으며 본선 진출을 확정했습니다. 손흥민, 황희찬, 오현규가 각각 골을 기록했습니다.
아시아 지역 예선 방식
아시아 지역은 총 8.5장의 월드컵 본선 티켓을 받았으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1차 예선: FIFA 랭킹 하위 20개국이 홈 &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10개국이 2차 예선에 진출
- 2차 예선: 1차 예선 통과 10개국 + 나머지 26개국이 9개 그룹으로 나뉘어 경기, 각 그룹 1위와 상위 4개 그룹 2위가 3차 예선에 진출
- 3차 예선: 18개국이 3개 그룹으로 나뉘어 경기, 각 그룹 1, 2위(총 6개국)가 월드컵 본선 직행
- 4차 예선: 3차 예선 각 그룹 3, 4위(총 6개국)가 2개 그룹으로 나뉘어 경기, 각 그룹 1위가 월드컵 본선 직행, 각 그룹 2위는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2026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현황
대륙 | 배정 티켓 | 확정 국가 | 남은 티켓 |
---|---|---|---|
아시아(AFC) | 8.5 | 일본, 이란, 대한민국 | 5.5 |
아프리카(CAF) | 9.5 | - | 9.5 |
북중미(CONCACAF) | 6.5 | 미국, 캐나다, 멕시코(개최국) | 3.5 |
남미(CONMEBOL) | 6.5 | - | 6.5 |
오세아니아(OFC) | 1.5 | - | 1.5 |
유럽(UEFA) | 16 | - | 16 |
2026 FIFA 월드컵 개요
- 개최 기간: 2026년 6월 11일 ~ 7월 19일
- 개최국: 미국, 캐나다, 멕시코
- 참가국: 48개국 (기존 32개국에서 확대)
- 경기장: 16개 도시 16개 경기장
- 미국: 11개 도시
- 캐나다: 2개 도시
- 멕시코: 3개 도시
- 대회 방식: 12개 그룹(각 4팀)으로 나뉘어 예선 진행, 각 그룹 1, 2위와 3위 중 상위 8팀이 32강 토너먼트 진출
아시아 지역 주요 선수 활약
- 손흥민(대한민국): 3차 예선에서 4골 1도움을 기록하며 대한민국의 본선 진출에 크게 기여
- 미토마 가오루(일본): 3차 예선에서 5골을 기록하며 일본의 공격을 이끔
- 메흐디 타레미(이란): 3차 예선에서 4골을 기록하며 이란의 본선 진출을 이끔
- 엘더 쇼무로도프(우즈베키스탄): 3차 예선에서 3골을 기록하며 우즈베키스탄의 선전에 기여
다음 경기 주목 포인트
- B조에서는 요르단과 이라크가 남은 본선 직행 티켓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 C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본선 직행 티켓을 확보하기 위해 남은 경기에서 승리가 필요합니다.
- 6월 마지막 경기들은 본선 직행 및 4차 예선 진출을 결정짓는 중요한 경기가 될 것입니다.